사용 언어 : Kotlin , 부언어 JAVA / Python
사용할 IDE : Intellij → 학생 라이센스를 통해서 무료로 사용 가능 kotlin및 java 호환
- 계획 : 백준 solved.ac 의 레벨 기준대로 우선 브론즈문제는 일부 선별해서 풀어보고 이후 구체적으로 결정
지금생각으로는 백준 로드맵을 따라가면서 프로그래머스 kit를 활용하여 코테준비를 병행할 계획
- 백준은 브론즈 이후 부터는 백준은 이틀에 1~2문제
로드맵 추가
다이나믹은 어려우니 가끔
코딩 테스트 준비 - 연습
코딩테스트 고득점 Kit
<aside>
💡 백준 로드맵/ 프로그래머스 kit 할때 부터는 정기적으로 스터디해도될듯
</aside>
운영방식 예시
- 기준인원 3~5명
- 2~3일텀으로 관련 알고리즘 문제(DP,그리디,탐색 등등) 1~2문제 선정 (주 2회 진행)
- 문제풀이가 완료되었으면 해당 소스코드를 적절한 폴더링에 추가후 PR후 코드리뷰 요청
- 각자 코드리뷰 후 (코드리뷰까지 해야 제출로 인정!) (다음 문제 PR 올리기 전까지 하면 됨)
<aside>
💡 - 타 스터디의 경우 한달의 3번씩은 휴가권을 사용하여 빠질 수 있게 운영한다고함
- 벌금 내자 (모이면~ 오프라인때 공금으로 활용! - 커피쏘기)
- 4번째부터 불참시 1만원, 6회 불참시 2만원, 한달 동안 참여 안하면 탈퇴 (팀원들이랑 결정)
-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 스터디도 진행
- 이론을 병행을 해야할 수도 있다. 일주에 한번? 정도
</aside>
- 여기서 정하고 가야할점! CS스터디도 병행할 것 인가? 아니면 오직 코테/알고리즘 스터디만 할 것인가 이 여부에 따라서 스터디 운영이 좀 변할 수도 있다고 함 (CS는 나중에 하자!)
(CS스터디의 경우 일주일간격 으로 정기적인 스터디 모임)
- 모집인원은 어떻게 받아야 하는가?
소스코드 관리
- Organization 하나 생성 예정! (나는 구경하러 간다. -누리)
기본적으로 풀어본 문제들은 git에 푸쉬하면서 어려웠던 문제나 소스코드이상으로 정리해야할 문제는 개인 블로그에 관리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