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라면 Main → Develop으로 부터 feature 브랜치가 생성되는 flow를 채택해야하지만 git으로 인한 개발과정의 지연을 막기 위해서 이번 앱잼기간동안은 저희는 Main Branch를 Default 브랜치로 하여 Main Branch로 부터 feature 브랜치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flow를 채택하겠습니다! 다만, 긴급한 버그 수정시에는 Hotfix라는 브랜치에서 작업하도록 하겠습니다. ****
HARA 기본 Git Flow
참고자료
우린 Git-flow를 사용하고 있어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aside> 💡 저는 Git Kraken을 별로 선호하진 않습니다… 어차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도 있는 기능이 대부분이고 쓰기도 훨씬 간편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Android Studio를 가급적 이용
</aside>
Git Flow를 지켜서 개발한다.
Reviewer는 Pull Request를 꼼꼼히 읽고 피드백을 남긴다. (할 말 없으면 고생했다는 말이라도 남긴다.)
해당 브랜치의 목적에 맞는 개발만 진행한다.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 브랜치에서 완성해야할 기능이 있다면 Todo / Fixme 주석을 남긴다.
main 브랜치의 최신 상태는 반드시!!!!! 정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aside> 💡 commit type는 첫문자만 대문자
</aside>
`type: subject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사용 모습
실제 적용 모습